양식 어가 고수온 피해 대책 촉구

양식 어가 고수온 피해 대책 촉구

양식 어가 고수온 피해 대책 촉구

거제시의회 노재하 의원은 14일 열린 거제시의회 제256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매년 반복되는 고수온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는 양식업에 대해 거제시의 실질적이고 책임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경남도는 지난 9일 오전 9시부로 사천만·강진만 해역 ‘고수온 주의보’와 함께 도내 전 해역에 ‘고수온 예비특보’를 발령했다. 고수온 주의보는 수온이 28도에 도달하거나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해역에 발표되며, 올해 도내 해역 고수온 주의보 발표는 장마 조기 종료, 폭염 지속으로 작년 8월 2일 발표 대비 24일 정도 앞당겨졌다.

이에 경남도와 거제시는 대책상황실과 대책반을 즉시 가동해 현장 대응 상황을 매일 점검하고 있다.

노 의원은 “지난해 8월 중순부터 30도를 넘나드는 이상 고온 현상이 한 달 넘게 이어지면서 연안 양식장이 역대급 피해를 봤다”면서 “기후위기 속에서 해수 온도의 상승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지만, 대책은 여전히 옛 방식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노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거제시의 고수온 피해 어가는 144곳, 피해액은 73억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752만 마리가 넘는 물고기가 떼죽음했으며, 양식어류 피해액은 35억 원으로 집계됐다.

고수온에 잘 견디는 수산물로 알려진 굴도 빈산소수괴(산소 부족 물덩어리) 현상으로 16억 원의 적지 않은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거제 연안 멍게 양식장이 직격탄을 맞았다. 멍게는 10~18도가 적정 성장 환경인데 26도 이상이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공식 집계된 폐사량이 97%에 달할 정도로 초토화됐다. 피해액은 20억 원에 달할 정도의 큰 피해를 입었다.

거제시는 올해 고수온 피해 예방 사업에 전년 대비 예산을 대폭 증액한 15억 1,800만 원을 투입해 면역증강제·예방백신 공급, 대응장비 지원, 양식재해보험료 지원을 완료했다. 하지만 이는 매년 반복되는 고수온 상황 앞에 단기적 예방 대책에 불과하다고 노 의원은 지적했다.

그러면서 “거제의 바다는 단순한 자연 자원이 아니라 어업인의 삶이자 지역경제의 뿌리”라면서 보다 근본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주문했다.

노 의원은 지난 9일 통영 멍게수하식수협과 굴수하식수협을 직접 방문해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거제와 통영은 전국 멍게 생산량의 70%를 차지하지만, 올해는 2년산 멍게 전량 폐사로 위판 실적이 지난해의 6%에 불과한 상황이다.

이에 노 의원은 “고수온 피해를 피할 수 있는 대피어장 조성과 수심이 깊은 안전해역으로 양식 어장을 옮길 수 있는 어장 개발 등 거제시 차원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헤럴드 미디어 ( herald_news@daum.net )

※ 저작권자 ⓒ 헤럴드 미디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 Comments
한 달간 많이 본 기사
1
찾아가는 면·동 현안청취 간담회 시작 찾아가는 면·동 현안청취 간담회 시작
2
‘실종자 수색 활동 지원 조례안’ 통과 ‘실종자 수색 활동 지원 조례안’ 통과
3
민기식 부시장 주재 첫 면·동장 회의 민기식 부시장 주재 첫 면·동장 회의
4
행정타운 현장 및 재난 취약지역 점검 행정타운 현장 및 재난 취약지역 점검
5
거제시-인천광역시, 공공기관 청렴정책 협력 강화 거제시-인천광역시, 공공기관 청렴정책 협력 …
칼럼/기고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